IaaS/퍼블릭클라우드 110

(완독정리)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아키텍팅/에이콘 - 5. 기반 클라우드 아키텍처

클라우드 솔루션을 활용하면 중복, 복원력, 재해 복구를 위한 설계 방식이 획기적으로 바뀐다. 아키텍처 기본 설계 원리는 클라우드를 활용할 경우 달라진다. 1) 글로벌 서버 로드 벨런싱 여러 사이트 간 트래픽 흐름을 처리하는 메커니즘은 많은데, 거의 대부분 DNS정보를 변경하는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DNS정보를 변경하는 데는 때때로 몇 시간이 걸릴 수 있다. 그러나 운영 사이트에 장애가 발생해 이중화된 사이트로 전환해야 하는 경우 트래픽은 이중화된 사이트로 최대한 빨리 넘어가야 한다. 이때 글로벌 서버 로드 벨런싱을 활용하면 장애 발생시 사전 계획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2) 데이터 베이스 복원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마스터-슬레이브를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대량 트랜젝션과 트래픽이 높은 환경..

(완독정리)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아키텍팅/에이콘 - 4. 이행을 위한 아키텍팅

사용자 특성 이제는 특성과 속성을 검토하는 일이 고객의 책임이 된다. 면밀한 검토를 통해 여러 조직과 부서에 걸쳐 내부적인 협력과 조직간 조율하는 일을 할 필요성도 발생한다. 서비스 공급업체도 솔루션의 설계, 구축, 지원 및 유지관리하는데 심층적인 세부사항을 공유해야 하기 때문에 거의 실시간으로 대응하게 된다. 클라우드 아키텍처는 최종 사용자를 이해하는 것으로 부터 시작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는 대상 가동률 및 사용 패턴을 사용해 고객의 인프라 설계를 가이드한다. 고객이 서비스 공급자의 특정 서비스의 활용 가치를 누리려고 하면 고객의 비즈니스 운영 패턴이 공급자의 목표 대상과 잘 맞아야 한다. 클라우드 솔루션 아키텍트는 다음과 같은 사용자 모집단 특성을 문서화하고 검증하는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

(완독정리)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아키텍팅/에이콘 - 3. 아키텍쳐 경영진 고려사항

클라우드 구축 시 여러 의사결정의 최종 결정은 주로 기업 경영진이 내리게 된다. 왜냐면 필요한 투자 수준과 조직에 미치는 영향도 때문에 경영진이 의사결정을 해야하는 불가피한 상황이 있을 수 있기 대문이다. 솔루션 아키텍트는 핵심 추진 팀의 구성원으로서 유관 경영진의 관점을 이해하고 관리하는데 집중해야한다. 그래서 이러한 과제는 양방향 의사소통을 통해 어려운 개념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면서, 신규 비즈니스, 운영 모델, 경제성 모델을 함께 정립해 나갈수 있게 해야한다. 여러 프로젝트에서 솔루션 아키텍트는 경영진 수석 강사의 역할을 하기 위해 캐스팅 되기도 한다. 다음 도표는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프로세스다. 클라우드로 가게 되면 이 방법은 더이상 사용할 수 없다.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업체를 선정할 때 이같..

(완독정리)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아키텍팅/에이콘 - 2. 비즈니스 모티브, 성과지표 및 사용사례

핵심 성과 지표 1) 시간 관련 - 가용성 대 복구 SLA : 가용성 품질 지표 - 적시성 : 서비스 구성/변경 요청에 대해 실해으 응답도 - 서비스 선택 결정 시 서비스 준비, 응답의 신속성 - 처리량 : 트랜잭션 지연 시간, 단위 시간당 처리량으로 워크로드 처리 효율성을 측정 - 주기성 : 수요 및 공급 활동 빈도, 진폭 - 일시적 요청 주기 : 실시간 작업을 통해 산출물을 출력해야 하는 이벤트 주기 2) 비용관련 - 예측 워크로드 비용 : 사내와 클라우드의 자본 투자 비용(CAPEX) 비교 지표 - 변동성 워크로드 비용 : 사내와 클라우드의 운영 비용 비교 지표 - CAPEX와 OPEX 비교 : 사내 물리적 자산의 TCO와 클라우드 TCO 비교 지표 - 서버 통합 비율 :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사용되..

(완독정리)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아키텍팅/에이콘 - 1. 설계 고려사항

설계를 위한 기초 : 사고과정 설계 고려사항 논의를 위해서는 사고 과정을 일관성있게 진행해야 한다. 프로세스 지향적 사고(Process-oriented thinking)를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진행하면 다음과 같은 몇가지 일을 성취하는데 도움될 것이다. - 잡음제거 - 복잡한 절차의 신속한 진행 - 제약 및 목표에 대한 집중 유지 - 관련 분석 결과의 빠르고 정확한 해석 - 제약 조건을 충족하는 최적의 솔루션 식별 - 전략 최적화 기회를 신속하게 식별 설계를 위한 기초 : 기술 관점이 아닌 경제성 관점에서의 클라우드 대부분의 사람들이 믿고 있는 것과는 달리 클라우드는 기술 혁신이라기 보다는 경제성 관점의 혁신이다. 클라우드는 새로운 기술, 새로운 사고 과정, 새로운 설계 접근 방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

(AWS) EKS 클러스터 설치

시작전 EKS관리자 계정을 생성하고 시작하세요. 추후에 EC2에서 aws authentication이 있습니다. 역할 생성 IAM>Roles>Create role의 서비스 목록에서 EKS를 선택하고 사용사례에 "EKS에서 사용자를 대신하여 클러스터를 관리하도록 허용" "(영어로는) Allow EKS to manage clusters on your behalf"을 선택하고 마지막 단계에서 역할이름에 "eksServiceRole"을 입력하고 역할생성을 합니다. 클러스터 용 VPC 생성 – Cloud Formation을 사용하여 클러스터 용 VPC, Subnet, Security Group을 생성합니다. Cloud Formation 1. Cloud Formation>Create stack>템플릿 선택: Ama..

(AWS) ELB를 적용해 로드벨런싱 하는방법

개요 : Elastic LoadBalancing을 사용하면 라운드로빈 순서로 대상 인스턴스로 라우팅한다. 복수의 EC2를 사용할 때 필수적인 요소이다. 준비사항 : 2대 이상의 EC2 ※ 저의 경우 Tomcat에 간단한 JSP를 올린 인스턴스를 2개 준비하였습니다. 서버IP등 찍는 단순한 JSP소스를 원하시면 Github에서 다운로드 받으면 됩니다. https://github.com/armyost/testPage.git 적용방법 : 1. [서비스]-[EC2]에서 '로드벨런싱'의 '로드벨런서' 메뉴를 클릭합니다. 2. 'LoadBalancer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어플리케이션을 로드벨런싱 할 예정이므로 'Application LoadBalancer'를 선택합니다. 4. 로드벨런서 이름을 입력하고,..

AWS Professional DevOps 시험준비

합격 팁 (출처 : https://techblog.kr/2021/03/30/aws-devops-pro-exam/) AWS 데브옵스 엔지니어 프로페셔널 시험 후기(2021년 4월) AWS Devops Engineer Pro 시험을 보았습니다.이번에 AWS 데브옵스 엔지니어 프로페셔널 시험을 보고 합격하였습니다.AWS Certified DevOps Engineer - Professional (이하 Devops Pro) 시험은 AWS의 여러 자격증 시험중 AW techblog.kr 이번에도 시험을 준비후 한번에 합격하였는데 역시 이전과 마찬가지로 영어로 보았습니다. 영어로 시험을 본 이유는 이전과 같습니다. 번역이 매끄럽지 못하고 시험도 최신 유형의 반영이 늦기 때문입니다. 덤프등을 구해서 공부하는 방법도 한..

(AWS) CodePipeline을 활용한 EC2 소스 배포 자동화(with Cloud9, CodeCommit, CodeDeploy)

Cloud9을 활용하여 소스코드를 작성하고, CodeCommit을 활용하여 소스 코드의 버전을 관리하고 CodeDeploy를 통해 EC2에 소스를 배포하는 프로세스, CodePipeline를 이용해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서비스 역할 및 IAM 인스턴스 프로파일 생성 1. [서비스]-[보안자격증명 및 규정준수]-[IAM]을 클릭합니다. [사용자] 메뉴를 선택하고 [사용자 추가]버튼을 클릭합니다. 2. [사용자 추가] 화면에서 '사용자 이름'에 'DevOpsUser'입력 후 '엑세스 유형'에 '프로그래밍 방식 엑세스'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사용자 추가] 페이지에서 [기존 정책에 직접 연결] 버튼을 클릭합니다. '정책' 필터에 'AWScode'를 입력후 'AWSC..

(AWS) CodePipeline 이란?

개요 AWS CodePipeline은 빠르고 안정적으로 애플리케이션과 인프라의 업데이트를 위한 릴리스 파이프라인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완전 관리형으로 지속적인 전달을 제공하는 서비스 입니다. AWS CodePipeline은 코드에 변경이 있을 때마다 사용자가 사전에 정의한 릴리스 모델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의 릴리스 프로세스의 빌드, 테스트, 배포 단계에 걸친 프로세스에 대해 자동화를 수행합니다. AWS CodePipeline의 주요 기능과 기대효과 1. 지속적인 배포를 위한 워크플로우 모델링 입니다. AWS CodePipeline은 소스 배포를 위한 프로세스 워크플로우를 정의하고, 새로운 코드나 기능의 변셩이 배포 프로세스에서 진행되는 방법을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 2. AWS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