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성과 지표
1) 시간 관련
- 가용성 대 복구 SLA : 가용성 품질 지표
- 적시성 : 서비스 구성/변경 요청에 대해 실해으 응답도 - 서비스 선택 결정 시 서비스 준비, 응답의 신속성
- 처리량 : 트랜잭션 지연 시간, 단위 시간당 처리량으로 워크로드 처리 효율성을 측정
- 주기성 : 수요 및 공급 활동 빈도, 진폭
- 일시적 요청 주기 : 실시간 작업을 통해 산출물을 출력해야 하는 이벤트 주기
2) 비용관련
- 예측 워크로드 비용 : 사내와 클라우드의 자본 투자 비용(CAPEX) 비교 지표
- 변동성 워크로드 비용 : 사내와 클라우드의 운영 비용 비교 지표
- CAPEX와 OPEX 비교 : 사내 물리적 자산의 TCO와 클라우드 TCO 비교 지표
- 서버 통합 비율 :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사용되는 서버 수와 기존 인프라에서 사용했던 서버수 비율
- 워크로드 대 활용률 비율 : 비용 효율적인 클라우드 워크로드 활용률 지표
3) 워크로드 유형 할당 관련
- 워크로드 크기 대비 메모리/프로세서 분산 관계 : 클라우드를 사용하고 있는 IT자산 워크로드의 비율
- 인스턴스 대 자산 비율 : IT 통합 비율과 통합 비용
- 복잡성 감소 수준(%) : 물리적 리소스 자산 수 대비 게스트 운영체제 인스턴스 수
- 테넌시 대 인스턴스 비율 : 리소스당 테넌트 수, CPU와 메모리 사용률
- 생태계(공급망) 선택성 : CSP로 마이크레이션 한 이후 기업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상품화된 자산, 서비스를 사용한 내역 추적
4) 품질 관련
- 경험 : 서비스 사용자가 경험한 품질
- 기본 서비스 품질 지표(가용성, 신뢰성, 복원력, 응답성, 처리량, 관리 용이성, 보안)
- 사용자 만족도
- 고객 유지율
- 매출 효율성
5) 단위 매출당 마진 증가
- 서비스 사용료 증가율
- SLA 응답 오류율
- 불량 응답 빈도
- 지능형 자동화 비율
6) 마진
- 수익 효율성 : 매출당 마진 증가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
- 서비스 사용료 증가율
- 시장 침투 비율 : 수익 증가율 대비 신제품 고객 사용 비율
비즈니스 목표 핵심 성과 지표
고려해야할 비즈니스 목표 KPI는 다음과 같다.
- 비용 절감 속도
- 도입/도입 해제 비용
- 소유권 사용 최적화
- 프로비저닝 속도
- 마진 증가율
- 동적 사용 비율
- 탄력적 프로비저닝과 서비스 관리 비율
- 리스크 및 컴플라이언스 개선
경제 목표 지표
비슷한 맥락에서 수치화 할 수 있는 정체성 관련 목표 지표는 다음과 같다.
- 자본지출 회피 금액
- 유틸리티 형태로 사용한 비용
- 시장 진입 장벽이 낮아지면서 발생한 매출
- 공유 인프라 비용
- 관리 오버헤드 비용 절감 금액
- 즉시 애플리케이션 사용 등록한 건수
- 즉시 애플리케이션 종류 옵션 활용 건수
- 특정 SLA 준수율
- 비용 대비 효과 비율
'IaaS > 퍼블릭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독정리)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아키텍팅/에이콘 - 4. 이행을 위한 아키텍팅 (0) | 2021.07.29 |
---|---|
(완독정리)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아키텍팅/에이콘 - 3. 아키텍쳐 경영진 고려사항 (0) | 2021.07.29 |
(완독정리)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아키텍팅/에이콘 - 1. 설계 고려사항 (0) | 2021.07.29 |
(AWS) EKS 클러스터 설치 (0) | 2021.07.04 |
(AWS) ELB를 적용해 로드벨런싱 하는방법 (0) | 2021.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