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합격 팁
(출처 : https://techblog.kr/2021/03/30/aws-devops-pro-exam/)
AWS 데브옵스 엔지니어 프로페셔널 시험 후기(2021년 4월)
AWS Devops Engineer Pro 시험을 보았습니다.이번에 AWS 데브옵스 엔지니어 프로페셔널 시험을 보고 합격하였습니다.AWS Certified DevOps Engineer - Professional (이하 Devops Pro) 시험은 AWS의 여러 자격증 시험중 AW
techblog.kr
이번에도 시험을 준비후 한번에 합격하였는데 역시 이전과 마찬가지로 영어로 보았습니다. 영어로 시험을 본 이유는 이전과 같습니다. 번역이 매끄럽지 못하고 시험도 최신 유형의 반영이 늦기 때문입니다. 덤프등을 구해서 공부하는 방법도 한국어보다 오히려 영어가 더 편했습니다. 공부하면서 실력을 키우는것이 목표였던 만큼 저는 영어쪽이 훨신 더 도움이 되었습니다.
- Assoicate 시험을 먼저 보자
SA Pro시험과 달리 Devops Pro시험은 하위 자격증이 두개입니다. 하나는 SysOps고 하나는 Developer입니다. 이 둘 모두가 적절히 혼합되있는 만큼 이 두 자격증을 먼저 취득하신다면 시험 공부에 절대적으로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절벽을 오르는것 보다 작은 계단을 오르는게 쉬운것처럼 하나하나 단계를 밟아나가는 편이 훨신 편할태니까요. 언급한 두 자격증 역시 AWS를 공부한다면 정말 좋은 이정표가 되는 자격증입니다. 거기다 시험 방식 및 출제 경향에 익숙해질 수 있는 점도 있습니다.
이전에 소개드렸던 것 처럼 저도 Associate 자격증을 거쳐 왔습니다.
- 실제로 AWS를 써보자
여러 강의 사이트(Udemy, linuxacademy 혹은 CloudGuru등)의 강의 사이트를 통해 강의를 들은 부분도 많은도움이 되었고 기초를 튼튼히 할 수 있는 계기였습니다. 다만 내용이 너무 방대하다보니 모든걸 기억하기 쉽지 않았고 결국 기억에 남는건 실제로 해본 경험이 거의 대부분이었습니다. 사실 Devops시험을 보신다면 이쪽 업무를 하고 계실것이고 실제로 현업에 적용할 수 있는 수많은 보석같은 내용들이 시험범위인 만큼 이 부분은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 AWS White Paper ,서비스의 FAQ, Re Invent 영상, AWS BLOG등을 보자
SA PRO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시험내용은 위의 리소스에서 출제됩니다. 특히 AWS에서는 하나의 문제에 대해 여러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솔루션중 가장 효율적이고 AWS가 생각하는 방법을 찾는것이 문제의 핵심 목표입니다. AWS가 권장하는 솔루션이 위의 리소스에 고스란히 있기 때문에 이쪽을 자세히 보다보면 자연스럽게 오답이 걸러지게 됩니다. - 물론 위에 언급한 모든 자료를 전부 공부하는것은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틈틈히 짬내서 읽는 습관이 필요하기에 쉽지 않지만 어차피 이 자격증을 취득하려 한다면 현업에도 어느정도 AWS가 관련되어 있을 것이고 굳이 자격증을 위한 것이 아니어도 일하는데 소소하게 도움이 됩니다.
AWS 공식 블로그.엄청 유익한 내용이 많이 올라옵니다.영어의 압박이 있지만 한국어로 번역된 블로그도 올라오니 꼭 읽어보시길
- 문제를 많이 풀어보자
인터넷에 조금만 검색해보면 보면 수많은 덤프가 존재합니다. 이 문제들은 실제 시험에 출제되는 문제도 있고 오래된 문제들도 있는데 어찌되었든 이러한 문제들을 풀어보고 내가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과정은 시험을 합격하는데 매우 도움이 되었습니다. 다만 주의할것은 덤프 자체에 크게 의존하면 실제 다른 문제가 출제되었을대 당황할 수 있습니다. 덤프중엔 문제 질문은 같았지만 보기 내용이 다르게 출제되는 케이스가 있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순서가 다른게 아닌 문제 해결을 위한 보기 내용 자체가 달랐습니다.)그리고 위에 언급한대로 한번에 75문제를 푸는 연습을 꼭 해보시길 바랍니다. 짬짬히 조금식 문제풀다 실제 시험장에 가면 엄청 긴 시간과 집중력 요구량에 당황할 수 있습니다. - 그리고 덤프 사이트 자체의 답도 오답이 많습니다. 몇몇 덤프 사이트는 유저 Discussion을 열어 유저가 생각하는 답을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데 자세히 보면 8~90퍼센트의 유저가 맞다고 하는 답안도 실제로 틀린 경우가 있습니다.(진짜로!) 속지 마시고 문제 내용을 키워드로 정리해서 구글링하면 거의 대부분 해당 내용에 대해 AWS블로그나 Knowlege Center 포스트가 뜨니 참조하여 올바른 답을 구해서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잘못 답 알아갔다가 자신있게 맞춘 문제가 틀리면 억울하니까요.
Udemy의 연습문제의 경우 각 서비스의 상세한 설명과 정답이 왜 맞고 다른 보기는 왜 틀린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어 매우 도움이 되었습니다.
- 추가 시간 요청 하기
영어로 시험을 보는 경우 영어가 모국어가 아닐 시 30분의 추가시간이 주어집니다. 솔직히 말하면 시험 보는 180분이 너무 길기 때문에 마지막까지 집중해서 문제를 풀다보면 지치기 마련이지만 추가시간이 아예 없는 것보 보다는 훨신 낫고 심리적으로도 조금 더 여유롭게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은 시험을 예약하는 사이트에서 추가시간을 요청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추가시간 없이 시험을 예약하였다면 취소 후 추가시간을 받은 다음 다시 예약해야 합니다.)
끝으로 성적표와 함께 시험에 나온 서비스와 토픽들을 공유하겠습니다..
기억나는 시험 문제 토픽들
- “어떻게 자동화 할 것인가?” : Devops 업무의 핵심인 만큼 AWS에서 어떻게 자동화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매우 많이 출제됩니다.
- AWS Code시리즈 (CodePipeline,CodeCommit,CodeDeploy,CodeBuild) : 자동화에 핵심적인 서비스인만큼 정말 많이 출제됩니다.
- CloudWatch : 로그를 수집하는방법, 보는방법, 다른 서비스로 전달하는 방법, CloudWatch Alarm, CloudWatch Event 등
- Route53 : Failover/Latency Based Routing
- AWS RDS (Aurora/Mysql): 특히 Aurora의 Failover 기능과 방법을 잘 알야아 합니다.
- AWS Elastic Beanstalk
- AWS OpsWorks
- AWS Config
- AWS Trusted Advisor
- AWS Health
- AWS Inspector
- CloudFormation
- AWS ECS
- Autoscaling : 특히 Lifecycle Hook
- Elastic Loadbalancer: ALB를 중심으로
- AWS System Manager : Parameter Store, Automation, Session Manager 등등
- AWS Lambda
- AWS StepFunction
- AWS CloudTrail
- S3
- AWS X-ray
- AWS API Gateway
- AWS DynamoDB(특히 Global Table)
- AWS Kinesis(stream, Firehose)
- RPO와 RTO
- Deploy 방법(CodeDeploy, Elastic BeanStalk, CloudFormation 등)
- 다른 Region으로 DR 시나리오(Failover 하는 방법)
기타
궁금하신점이 있으면 댓글로 달아주시면 최대한 아는범위 안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IaaS > 퍼블릭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KS 클러스터 설치 (0) | 2021.07.04 |
---|---|
(AWS) ELB를 적용해 로드벨런싱 하는방법 (0) | 2021.06.17 |
(AWS) CodePipeline을 활용한 EC2 소스 배포 자동화(with Cloud9, CodeCommit, CodeDeploy) (0) | 2021.06.13 |
(AWS) CodePipeline 이란? (0) | 2021.06.12 |
(AWS) CI/CD를 위한 AutoScaling, Cloud9과 CodeDeploy로 구현 (0) | 2021.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