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자격증

CKA(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시험 준비사항 정리

armyost 2021. 3. 9. 22:55
728x90

공부 준비
다양한 리소스를 이용하여 공부를 하였으나, 제가 제일 유용하였고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되는 자료 리스트입니다.


  1. Kubernetes Tutorials
    언제나 기본기는 중요합니다. hands-on lab 도 제공하여 처음 기본을 잡는데 유용하였습니다.(katacoda practice lab)
  2. Kubernetes in Action
    스터디 그룹에서 번역의 상태가……, 하지만 내용은 너무 좋은 책입니다.
    Kubernetes Korea Group의 Kubernetes Architecture Study 모임 에서 진행된 스터디 자료를 참조하시면 더욱 좋습니다.
  3.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Udemy 에서 유료로 제공되는 인터넷 강의입니다. 영문으로 구성된 강의이며, 영문 자막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강의 자체를 100% 소화를 못하더라도 중간중간 제공되는 Practice Lab 을 풀어보는 것을 좋습니다.
    해당 Lab 시스템이 실제 시험과 매우 비슷한 환경입니다. 다만 실제 시험과 달리 성능이 매우 느립니다. ;(
  4. Kubernetes the hard way
    Kubernetes 를 공부하기 시작하면 많은 분들이 이 자료를 추천합니다.
    저의 경우, Open Infrastructur & Cloud Native Days Korea 2019 에서 @jmyung님께서 진행하신 kubernetes-the-hard-way-modified 를 현장에서 실습하고
    GCP 기반으로 되어 있는 내용을 VM 기반으로 변경하여 설치하면서 다시 한번 리뷰 하였습니다.
    @jmyung 님이 현장에서 해주신 hands-on lab 이 매우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5. CKA-StudyGuide
    분야별 Example Lab 문제를 제공합니다.
    시험보는 느낌으로 테스트 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시험 당일

시험 보기전 사전에 확인하는 사항이 매우 많습니다.
저의 경우, 시험은 아침 10시 15분이였습니다. 그리고 시험 시작 15분 전인 10시에 exam classroom 을 입장 할 수 있도록 링크가 활성화 되었습니다.
exam classroom 에 입장을 하면 Live Chat 을 이용하여 시험 감독관의 시험 환경 확인이 시작됩니다.
생각보다 이 과정은 오래걸립니다. 저는 약 15분 동안 확인하고 추가 질문하는데 사용하였습니다.
미리 시험 시작 15분전에 입장하시고 시험 환경 확인을 받는 것을 추천 드림니다.

시험 환경 확인

  • 시험 감독관은 Webcam 을 통해 본인 확인 및 시험 환경을 확인합니다.
    • Webcam 에 본인 신분 확인을 할 수 있도록 여권을 보여달라고 요청합니다.
    • 키보드가 있는 위치를 볼 수 있도록 Webcam 을 돌려달라고 합니다.
    • 시험을 볼 수 있는 주변 환경을 Webcam 을 통해 천천히 보여달라고 합니다.
    • 책상 전체 및 책상 밑 부붙을 보여달라고 합니다.

시험에 필요한 물품이 아닌 것은 사전에 정리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시험 보는 동안의 주의 사항


  1. 저는 집과 가까운 인근 스터디룸을 대여하여 시험을 보았습니다.
    평소와 달리 노트북 모니터로 보니 글씨가 작은 듯하여 자세히 보기 위해 자주 노트북 가까이 갔더니 Webcam 기준에서는 화면 밑으로 제 모습이 사라지는 경우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바로 Live Chat 으로 주의를 주며, 화면 안쪽에 있어 달라고 요청합니다.

  2. Windows 기준, Terminal 에서는 ctrl+insert , shift+insert 를 사용해야되고 Web Page 에서는 ctrl+c/v 를 사용 하였습니다.
    마우스가 Terminal 로 들어가면 ctrl+c/v 를 사용 못하고 Terminal 밖으로 마우스가 이동하면 ctrl+c/v 가 사용 가능 했습니다.
    그리고 ctrl+w  tab 제거 단축키이므로 입력하면 안됩니다.

  3. 시험보는 도중, command 가 입력이 잘 안된다는 느낌이 들면서 Connection Lost 라는 문구가 나오면서 Web page  Terminal 창이 꺼졌습니다.
    매우 당황했습니다. ㅠㅠ
    Live Chat 을 통해 문제에 대해 알렸습니다. 이후 감독관이 조치를 해주었습니다.
    당황하지 말고 Live Chat 으로 요청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CKA란?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의 약자로 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CNCF)와 The Linux Foundation 에서 주관하는 Kubernetes 관련 자격증명입니다. 비슷한 녀석으로 Certified Kubernetes Application Developer (CKAD) 도 있습니다. 응시료는 300달러이고 재응시 기회를 한 번 줍니다. 그러니까 총 2번의 시험을 볼 수 있죠. 100점만점으로 74점 이상의 점수를 획득하면 합격하고 자격증명의 유효기간은 3년입니다. (CKAD의 경우 66점 이상 합격, 유효기간 2년입니다.)

CKA의 특전(?)이라고 해야할까요? 회사에 3명 이상의 CKA 유저가 있고 CNCF membership에 가입을 하면 그 회사는 Kubernetes Certified Service Providers (KCSP) 인증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CNCF membership은 등급과 회사 규모에 따라 비용이 다르니 링크를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CKAD는 KCSP 조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준비과정

우선, 쿠버네티스 관련해서 한글로 된 자료가 아직은 별로 없습니다. 그리고 시험환경이 기본적으로 리눅스 CLI 환경이기 때문에 터미널과 기본적인 리눅스 명령어는 익혀두셔야 합니다. 그리고 네트워크쪽 기본지식이 너무 없으면 공부하는데 조금 힘들 수 있습니다. 기초적인 수준만 알면 되기 때문에 잘 모른다고 시험을 못 볼 정도는 아닙니다.

 

KodeKloud (추천)

KodeKloud 에서 CKA와 CKAD 강의를 판매합니다. CKA의 경우 199달러에 판매중인데, 강의 퀄리티가 꽤 좋습니다. 애니메이션을 많이 활용해서 이해하기 쉽고 기초적인 부분부터 차근차근 알려줍니다. 그리고 가장 좋은 점은 practice 를 제공해준다는 점인데, 실제 시험문제를 푸는 것처럼 연습문제를 풀어볼 수 있습니다. (katacoda 환경)

단점은 영어 강의라는 점, 그리고 katacoda가 반응성이 그렇게 좋지는 않아서 좀 답답하는 것. (실제 시험에서는 반응성도 좋고 쾌적환 환경을 제공합니다.)

여기서 꿀팁을 알려드리자면, udemy를 활용하세요. 영어와 가격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 kodekloud의 강의가 udemy에도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라는 이름으로 등록이 되어있습니다. udemy에서 구입해서 보게되면 영어자막이 나옵니다. 아쉽게도 한글자막은 없습니다. 그리고 udemy가 할인을 자주하고 또 많이 해주죠. udemy에서는 정가가 22만원인데 할인 받으시면 1~2만원 근처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링크 타고 들어가시면 아마 바로 할인해줄꺼에요. 할인시즌을 활용하셔도 됩니다.

저는 위 강의를 2바퀴 정도 돌았습니다. 처음엔 practice 안하고 쭉 보고 두번째부터는 practice 진행하면서 (hint도 보면서) 봤구요, 그 이후로는 practice만 2~3바퀴정도 더 돌았습니다. 강의 다 보고 practice로 연습할 때는 실제 시험친다고 생각하고 (hint 안보면서) kubernetes document만 보면서 풀었습니다. 내용을 외우는 것보다는 해당 내용이 document에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아는게 중요합니다. 그리고 practice 연습 많이 하세요. (시험응시할 때 kubernetes 공식문서는 오픈북으로 보면서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있습니다. )

katacoda의 반응성 문제는 해결방법을 모르겠습니다. 네트워크 환경 좋은데서 하세요. 와이파이 느리면 딜레이 5초씩 생기기도 하고 그럽니다. 키보드 내리쳐서 부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키보드는 아무 잘못이 없습니다.

kelseyhightower/kubernetes-the-hard-way (Github repo) (추천)

kelseyhightower 님이 작성하신 kubernetes-the-hard-way 튜토리얼입니다. 직접 따라하면서 실습까지 할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저는 kodekloud 강의 다 보고 나서 2번정도 읽었습니다. 쿠버네티스의 전체적인 이해도에 도움이 되며, Troubleshooting 문제 풀 때도 도움이 됩니다. 읽는 데 오래걸리지는 않으니까 보시는걸 추천해요.

The Linux Foundation Training 강의

The Linux Foundation Training 에서도 강의가 있습니다. 가격은 300달러이구요,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쿠폰과 같이 패키지로도 판매합니다. 패키지로 구매하게 되면 100달러 할인된 가격인 499달러에 구입할 수 있습니다. 저는 패키지로 구매해서 조금 봤습니다. 패키지로 구매하게 되면 메일로 쿠폰 시리얼을 주는데, 나중에 시험 결제할 때 쿠폰 적으시면 됩니다.

dgkanatsios/CKAD-exercises (Github repo)

dgkanatsios 님의 CKAD 연습문제 모음집입니다. CKAD 용이긴 하지만 CKA와 CKAD가 겹치는 영역이 많아서 겹치는 부분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twajr/ckad-prep-notes (Github repo)

twajr 님이 작성하신 CKAD 요약 노트입니다. CKAD 용이지만 이것도 마찬가지로 겹치는 영역이 많아서 그 부분만 잘 골라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여러가지 Tip들도 적혀있어요.



시험신청 및 진행

여기를 클릭하시면 시험에 관한 Q/A 내용이 나와있습니다. 한번씩 꼭 읽어보세요!!

시험권 구매는 CNCF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습니다. 구입하면 메일이 날라와요. 거기서 cncf training portal 링크를 주는데 접속해서 회원가입하시면 시험신청이 가능합니다. 시험권 구매일 기준으로 12개월 이내로 총 2번의 응시가 가능합니다. 시험일정을 선택하면 감독관이 배정되고 온라인으로 시험을 진행하게 됩니다. 시험일자는 주말, 새벽 등등 자유롭게 가능합니다만 모든 시간이 되는건 아니고 선택한 시간과 날짜를 기준으로 가능한 가장 가까운 일정을 알려줍니다. 딱 원하는 시간이 될 수도 있습니다. 시험시작 24시간 이전에는 취소하고 다시 신청할 수 있어요.

총 3시간동안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총 24문제가 나옵니다. 시험지 형태의 문제는 아니고 웹터미널 환경에서 문제에서 지시하는대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2019년 6월 기준 시험환경의 쿠버네티스 버전은 1.14 입니다.

응시료 할인이 가능하네요. 왠지 좀 억울합니다. 쿠폰란에 KUBERNETES25 라고 입력하시면 25%가 할인됩니다. 페이스북 Kubernetes Korea Group에서 이정훈님이 알려주셨습니다. 5월에는 5월 한정으로 100달러 할인도 진행했었네요. 해당 쿠폰이 적용이 안되거나 직접 찾아보고 싶으신 분들은 ‘Linux Foundation Coupons’를 키워드로 검색해보세요. 다양한 쿠폰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접속

메일로 시험환경에 접속할 수 있는 링크를 줍니다. 15분 전부터 접속이 가능한데, 바로 들어가시는게 좋습니다. 신분증 및 주변환경 확인 등 이것저것 하는데 15분정도 걸립니다. 시간 카운트는 시험이 시작되고나서부터 진행되기 때문에 미리 접속하지 않는다고 시간적인 불이익이 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신분증

여권이 필요합니다. 그 외 가능한 목록들은 Q/A를 확인하세요.

웹캠준비

시험 시작 전에는 신분증과 시험 장소를 확인하는데 사용되고 시험을 진행하는 동안은 응시자의 얼굴을 찍습니다.

크롬 확장프로그램

시험응시 환경은 크롬만 가능합니다. 그리고 Innovative Exams Screensharing를 사전에 설치해야 합니다.

컴퓨터 환경

맥북 기준으로 ⌥+⌘+ESC 눌러서 현재 작동중인 프로그램 확인하고 시험을 위한 chrome 제외하고는 종료하라고 합니다. chrome extension에 대한 제약은 없어보이는데, 저는 불편해서 Innovative Exams Screensharing 제외하고는 다 껐습니다. 특히 혹시나 Vimium 쓰시는 분들은 이거 꼭 끄세요. 웹 터미널에서 ESC키가 작동을 안해요. 크롬 확장프로그램 On/Off는 옵션 -> More Tools -> Extensions 에서 가능합니다.

접속 가능한 웹

제가 대신 전달하면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어서 원문 첨부합니다.

What resources am I allowed to access during my exam?

Candidates may use their Chrome or Chromium browser to open one additional tab in order to access assets at https://kubernetes.io/docs/ and its subdomains, https://github.com/kubernetes/ and its subdomains, or https://kubernetes.io/blog/ . No other tabs may be opened and no other sites may be navigated to. The allowed sites above may contain links that point to external sites.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candidate not to click on any links that cause them to navigate to a domain that is not allowed.

오픈북 시험처럼 저 3개의 도메인은 시험중에도 접속이 가능합니다. 다만 추가 탭은 1개만 가능합니다. 그 탭 내에서 왔다갔다 해요. 접속가능한 페이지에서 링크로 걸린 페이지들 또한 접속이 가능하지만, 그 페이지만 가능하고 이동한 페이지에서 다른곳으로는 이동이 안된다고 하네요.

이것저것 설명이 복잡해보이는데, 실은 https://kubernetes.io/docs 이거 하나면 충분합니다. 여기서 링크 타고 외부 페이지로 갈 일도 저는 없었어요. 이렇게 docs를 활용할 수 있다보니, 위에서도 강조한 내용이지만 내가 원하는 내용이 docs에서 어떤 키워드로 검색을 하고 어떤 페이지를 들어가야 있는지 아는게 중요합니다. 비유하자면 도서관에서 책의 내용을 외우는게 아니라 도서관에 어디 위치에 원하는 책이 있는지를 아는게 중요한거죠.

장소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조용한 공간이어야 합니다. 공간 내부에는 시험 응시자만 있어야 해요. 책상 위에도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충전기 등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 제외하고는 다 치우라고 합니다. (웹캠으로 확인합니다.) 종이랑 펜 안됩니다. 시험 환경에서 제공해주는 메모장만 사용 가능해요. 책상 아래도 웹캠으로 다 확인하고 캠 들고 한바퀴 돌면서 주변 환경 다 확인합니다. 시험감독관마다 case by case인것 같긴 한데, 저는 트랙패드(매직패드)도 안된다고 치우라고 해서 치웠어요. 저는 방이 좀 지저분해서 주말에 회사 회의실에서 시험봤습니다. 스터디룸같은 곳도 네트워크 상태만 양호하다면 좋을 것 같아요. https://fast.com/ko/ 에 접속하시면 네트워크 속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시험 환경

katacoda랑 매우 유사해요. 왼쪽에 문제가 나오고 오른쪽에 터미널화면이 있어서 거기서 작업하시면 됩니다. 상단에는 여러가지 메뉴들이 있습니다.

 

 

 

이 글의 출처는 : blog.dudaji.com/kubernetes/2019/06/24/cka-acceptance-review-soonbee.html

chhanz.github.io/linux/2019/09/30/cka-exam-review/

 

CKA(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합격 후기 및 팁 공유

 

blog.dudaj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