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AWS Cloudformation Template은 AWS 인프라를 설명하는 JSON 또는 YAML 형식의 텍스트 파일
템플릿은 '포맷 버전, Description, Metadata, parameters, Mappings, Conditions, Transform, Resources, Outputs'과 같은 섹션들로 구분되며, 주요 세션별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JSON
{
"AWSTemplateFormatVersion": "version data",
"Description": "JSON string :,
"Metadata": {
template metadata: 템플릿에 대한 추가정보
},
"Parameters": {
set of parameters: 템플릿 실행 시 전달할 파라미터 값
},
"Mappings": {
set of mappings: 템플릿 실행 시 선택하게 되는 값(특정 리전, 인스턴스)
},
"Conditions": {
set of conditions: 특정 자원에 대한 생성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
},
"Transform": {
set of transforms: Serverless 애플리케이션용
},
"Resources": {
set of resources: 생성될 AWS 자원나열 (필수)
},
"Outputs": {
set of outputs: 템플릿 실행 후 만들어진 자원 결과값(자원 ID, IP 등)
}
}
YAML
AWSTemplateFormatVersion: "version date"
Description:
String
Metadata:
template metadata
Parameters:
set of parameters
Mappings:
set of mappings
Conditions:
set of conditions
Resources:
set of resources
Outputs:
set of outputs
- 템플릿 구성을 위한 섹션 중 필수 사항인 Resource 섹션은 Amazon EC2 인스턴스 또는 Amazon S3 버킷 등 스택에 포함할 AWS리소스를 선언할 때 사용합니다. Resource 섹션은 인스턴스나 버킷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지정된 속성값(ImageID & Instance Type) 및 KeyPair 파라미터 값에 대한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됩니다.
- Parameter 섹션은 Stack 생성 시 리소스와 Outputs 세션에서 참조할 수 잇는 값들을 지정하는 섹션으로 Parameter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타이핑하거나, 선택 옵션을 통해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데 필요한 섹션입니다.(생성 리소스 수량, 크기 설정 등)
- Outputs 섹션은 스택생성을 위해 템플릿의 모든 수행을 완료한 후 작업의 결과로 전달받을 수 있는 인스턴스의 아이디, 또는 Public IP등 템플릿 수행후 결과값에 대한 정보를 리턴받을 수 있는 섹션입니다.
'IaaS > 퍼블릭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WS의 CI/CD 툴 - CloudWatch (0) | 2021.06.06 |
---|---|
(AWS) AWS의 CI/CD 툴 - AWS Cloud9 (0) | 2021.06.06 |
(AWS) 서버리스 AWS Lamdba 개요와 사용법 (0) | 2021.06.05 |
(AWS) VPC with Cloudformation (0) | 2021.06.03 |
(AWS) IAM 이란? (0) | 2021.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