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kube-proxy
쿠버네티스에서 서비스를 만들었을 때 나오는 ClusterIP나 NodePort로 접근하게 해주는건 큐브프록시(kube-proxy)입니다. 큐브프록시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각 노드마다 실행되고 있으면서 클러스터 내부 IP로 연결되기 바라는 요청을 적절한 곳으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큐브프록시가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방법은 userspace, iptables, ipvs 3가지가 있습니다. 초기에는 userspace가 기본 모드였고 현재(2018년 6월)에는 iptables가 기본모드입니다. 그리고 iptables에서 ipvs 모드로 넘어가려고 하고 있습니다.
※ kube-proxy는 DaemonSet으로 정의 되어 있습니다.
Kube-dns, core-dns
쿠버네티스 v1.12 부터, CoreDNS는 kube-dns를 대체하여 권장되는 DNS 서버이다. 만약 사용자의 클러스터가 원래 kube-dns를 사용하였을 경우, CoreDNS 대신 kube-dns 를 계속 사용할 수도 있다.
참고: CoreDNS와 kube-dns 서비스 모두 metadata.name 필드에 kube-dns 로 이름이 지정된다. 이를 통해, 기존의 kube-dns 서비스 이름을 사용하여 클러스터 내부의 주소를 확인하는 워크로드에 대한 상호 운용성이 증가된다. kube-dns 로 서비스 이름을 사용하면, 해당 DNS 공급자가 어떤 공통 이름으로 실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구현 세부 정보를 추상화한다.
'PaaS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ubernetes) kubernetes 10.96.0.1 no route to host --DEBUG (0) | 2021.07.21 |
---|---|
(Kubernetes) Deployment 전략 들 (0) | 2021.06.28 |
Kubernetes Master/WorkerNode Server 설치하기(CentOS+Docker) (0) | 2021.04.11 |
(Kubernetes) 클러스터 디자인 하기 (0) | 2021.04.11 |
(Kubernetes) Ingress (0) | 2021.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