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우선 내 로컬 혹은 서버 (어디든 무관하다.) 에서 SSH 접속을 위한 RSA Key를 생성한다. 이때 필자는 key의 이름을 GH_RO_key_rsa 라고 하겠다.
imacs-imac:~ scott$ ssh-keygen -t rsa
Generating public/private rsa key pair.
Enter file in which to save the key (/~/~/.ssh/id_rsa): /~/~/.ssh/GH_RO_key_rsa
Enter passphrase (empty for no passphrase):
Enter same passphrase again:
Your identification has been saved in /~/~/.ssh/GH_RO_key_rsa.
Your public key has been saved in /~/~/.ssh/GH_RO_key_rsa.pub.
The key fingerprint is:
SHA256:0v0koHVNHdJ~~~~~~~~~~~~~~~~~~~~~~~~~~ scott@imacs-imac.lan
The key's randomart image is:
+---[RSA 2048]----+
| .===+o. |
| *o+o.o|
| o + E ooo|
| + + * ..o |
| o S + + + o|
| . + + Bo|
| . o.=.=|
| . *oo.. |
| ..=... |
+----[SHA256]-----+
imacs-imac:~ scott$
그리고 github.com을 known_hosts에 등록해준다.
# ssh-keyscan github.com > /tmp/known_hosts
# github.com:22 SSH-2.0-babeld-778045a0
# github.com:22 SSH-2.0-babeld-778045a0
# github.com:22 SSH-2.0-babeld-778045a0
#
This copies the ssh key f
생성한 위 두 정보로 secret을 생성한다.
# kubectl create secret generic github-creds --from-file=ssh=.ssh/GH_RO_key_rsa --from-file=known_hosts=/tmp/known_hosts
secret/github-creds created
이 생성한 secret은 Gitssh 가 필요한 서비스들에서 volume으로 mount하여 사용하게 된다.
예를들어 Gitsync과 같은 곳에서 말이다.
https://armyost.tistory.com/514
ArgoCD) Git-Sync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git repo fetch 받아오게 하기
가끔식 kustomization이나 Submodule과 같은 경우 다른 Repository의 최신 버전을 참고해야 할 때가 있다. 이때는 ArgoCD 의 구성요소중 argocd-repo-server를 활용하여야 한다. 참고로 argocd-repo-server는 argocd에
armyost.tistory.com
이제 Github에 등록할 차례이다.
생성한 public key의 값을 확인하고 복사해둔다. 나중에 Github에 등록할 정보이다.
# cat ~/.ssh/GH_RO_key_rsa.pub
특정 계정에 적용해도 되며, 혹은 특정 Repo에 적용해도 된다.
Github repo에서 Settings의 Deploy keys에서 방금 복사한 값으로 등록하자.
'PaaS > CI C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goCD) Git-Sync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git repo fetch 받아오게 하기 (0) | 2024.12.27 |
---|---|
Kustomization) Kustomize build 시 참조되는 파일 경로 유효성 평가 생략하기 (0) | 2024.12.27 |
Gitlab Runner ) kubernetes Executor Error 'Is the docker daemon running?' (0) | 2024.12.15 |
Gitlab Runner ) Kubernetes에 scaling Runner 배포하기 (0) | 2024.12.10 |
DockerHub Rate Limit 정책 그리고 이슈 (0) | 2024.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