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KS가 2023년에 공식적으로 서비스 종료됨에 따라 ECS로 강제전환해야 할것 같다.
ECS 란?
ECS 클러스터는 EKS와 같이 EC2인스턴스들의 모음으로 구성된다. 이 EC2 인스턴스는 ECS Agent(Docker Container)를 실행하고 있다. 이 ECS Agent들이 EC2인스턴스를 ECS컨트롤 플레인에 등록시켜준다.(일종의 Kubernetes Kubelet과 유사) 이 ECS 클러스터의 Worker노드가 되는 인스턴스도 AWS 에서 AMI로 관리하고 있다.
ECS 클러스터 사용방법
1. [AWS Console]-[ECS] 접속
2. "클러스터 생성" 클릭
3. EC2 Linux+네트워킹 을 선택
4. 디폴트로 선택된 온디멘드 인스턴스를 두고 기본 정보를 입력. AMI ID는 디폴트 AMI사용
5. 클러스터생성을 클릭하여 생성
6. 생성한 ECS 상태 보기
7. 해당 인스턴스를 Initializing할때 사용한 Userdata 참고. [AutoScaling]-[시작구성]에서 사용자데이터 클릭
기존 EKS와 무엇이 다른가?
한마디로 ECS는 완전관리형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서비스이다. Kubernetes의 아키텍처만 유지한채, 구성요소는 완전히 개발하였다. 컨테이너 생명주기 관리도 모두 AWS 콘솔에서 할 수있는 수준의 완전관리형이다.
서비스(컨테이너) 생성하기
1. [AWS-Console]-[ECS]-[TaskDefinition] 선택
2. "Create New TaskDefinition" 클릭
3. Type Compatibiliy에서 EC2 선택
4. 기본정보입력
5. 리소스 할당 및 "컨테이너 추가" 클릭
6. 본인의 ECR의 이미지를 참조하거나, DockerHub의 이미지를 사용해도 됨
Docker Hub Container Image Library | App Containerization
We and third parties use cookies or similar technologies ("Cookies") as described below to collect and process personal data, such as your IP address or browser information. You can learn more about how this site uses Cookies by reading our privacy policy
hub.docker.com
7. Container 추가 완료후 포트설정 및 TaskDefinition 생성완료
'IaaS > 퍼블릭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R 에 대해서 (0) | 2022.03.01 |
---|---|
(AWS) ECS Service에 대해서 (0) | 2022.02.28 |
(AWS) API Gateway란? (0) | 2022.02.18 |
(AWS) Step Function 이란? (0) | 2022.02.18 |
(AWS) SAM이란? (0) | 2022.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