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aS/Kubernetes

(Kubernetes) Platform9의 PMK 란?

armyost 2021. 12. 18. 14:36
728x90

1. 제조사 Platform9 란?

Platform9은 북미에 본사를 둔 IT회사로 정확한 주소는 800 W. El Camino Real Suite 180 이다. 이 회사는 Kubernetes뿐만아니라 Iaas 이상의 플랫폼을 관리형으로 만들어 주는 솔루션을 갖고 있다. 

현재 Product에 소개된 제품은

제품명 제품설명
Managed Kubernetes 퍼블릭 형태의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관리형 Kubernetes
Managed OpenStack 퍼블릭 형태의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관리형 OpenStack
Managed BareMetal BareMetal Server를 퍼블릭클라우드 노드와 같이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솔루션 
Managed KubeVirt Virtual Machine을 PMK에서 관리하는 Kubernetes의 Pod로 이관하는 마이그레이션 툴

 

2. PMK(Platform9 Managed Kubernetes) 란?

사상은 "Platform9에 당신의 Server리소스를 Join시키면 Platform9의 Kubernetes Cluster Node가 되고 우리가 완전히 관리해주겠다." 이다. 

 

나의 Server가 퍼블릭 네트워크에 연결만 되어 있다면 그 Server가 어떤 형태이던 PMK에 Node로 등록할수 있다. 

다만 Public Cloud의 경우 AWS, Azure만 MOU를 맺은듯 하다. Private 리소스의 경우 OS까지만 Deploy된 리소스면 뭐든지 연결가능하다. BareMetal, VMmachine.. 등

 

3. 내 Server리소스를 PMK에 등록하고 Kubernetes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방법

 

1) 내 Server리소스를 PMK에 등록하기

내 Server OS에 맞는 PMK인스톨 버전을 다운로드 받아서, 인스톨 하면 끝.

내 Server OS에서 Bash에 다음 명령어를 입력한다. 그러면 PMK 런타임/컴포넌트설치가 되어 Master 혹은 Worker노드가 될 준비를 마치게 된다. 

 

 

 

2) PMK 클러스터 생성하기

아래의 프로세스로 클러스터를 설정한다. 이때 Master, Worker노드로 등록을 해도 되고, 클러스터 설정을 마친 후에 Join 시켜도 된다.

 

※  생성한 클러스터에 Node 추가가 가능하니 추후에 리소스가 추가되어도 Join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클러스터를 생성하면 Kubeadm으로 수행할때의 기본 설정뿐만아니라 더 나아가

클러스터네트워크/CNI 설정, 대시보드 설정, 로드벨런스 컨트롤러 설정 등을 자동으로 설정한다. 

 

 

 

4. 장점과 아쉬운점

 

1) 장점 :

가) E2E관리형이라는점. 나는 Kubernetes를 접해오면서 늘 관리자 환경 편의성이 늘어야 한다고 줄곧 생각해왔다. Kubernetes가 범용적으로 사용되려면 엔지니어 스킬이 낮아도 직관적으로 관리가 되어야 한다. 클러스터의 상태관리, Loadbalancing, Ingress관리(보안까지), Pod나 Deployment의 생명주기 관리, 패치 및 업데이트 등이 쉽고 관리자 실수를 방지할수 있어야 한다. 이런 니즈를 충족하고자 탄생한 관리형 Kubernetes 컨트롤 플레인이다. 

 

나) 멀티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타겟팅한 점. 이제 미국은 AWS도 못믿겠다 분위긴데, 이제 대세는 멀티클라우드다. Platform9의 사상은 Resource가 뭐든 노드가 될수 있다는 점인데, 이는 미래지향적인 아이디어이다. 다만.. EKS, GKE와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사가 직접만든 관리형 Kubernetes와 경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MOU가 원활치 않거나 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2) 아쉬운점 :

가) PMK에 등록하면 docker-ce 등 install 되는데 PMK의 런타임이 Docker임을 알 수 있다. 참고로 Kubernetes프로젝트는 공식적으로 Kubernetes 1.2x버전이후에 Docker Runtime지원을 중단하였다. 이에 따라 PMK도 열심히 다른 런타임 기반으로 개발해야 될듯하다. 그래서 PMK에 노드를 등록할때 1.20까지밖에 마이너 버전이 표시가 안됩니다..

 

나) 느린 Release 가 문제인듯 하다. 현재까지 나온 PMK버전도 Kubernetes 1.21까지 지원하며, Docker런타임 기반이다. AWS나 GCP 보다 느리긴하다.

 

다) Private도 Public에 오픈해야 한다는 강제성이 있다. 퍼블릭클라우드의 VPC도 미연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Public채널을 막는게 최우선 보안세팅인데, 이걸 해당 서비스와 연동이되도록 오픈해야 한다는 점이다. 물론 일부 네트워크 대역만 허용하면 되게끔했겠지만, 어찌되었든 고객입장에서 리스크 하나 추가되는 느낌이다. 

 

Platform9 홈페이지

https://platform9.com/

 

The World's #1 Open Distributed Cloud Service | Run Kubernetes & cloud native technologies on public, private and edge infrastru

The power of the public cloud on infrastructure of your choice. Run Kubernetes and cloud native technologies on public, private and edge clouds. Public clouds are walled gardens, and DIY is difficult and time-consuming. Platform9 offers a third option—an

platform9.com